Sang Han
좋은 집 찾기 - Flood zone
Updated: Jul 1, 2022

집을 구매하실 때, 꼭 생각해보셔야 할 부분이 이 집은 침수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 (flood zone) 안에 있나 여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침수지역 여부를 알아보는 방법과, 해당 코드에 대해 몇 자 적어볼게요.
Flood zone 쉽게 확인하는 법
1.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같이 일하시는 중개인께 물어보시는 겁니다. 중개인들이 사용하는 MLS내의 detail information을 보면 flood zone여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2. FEM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의 사이트에 가셔서 해당 주소를 입력하시면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https://msc.fema.gov/portal/home)
그 외에도 각 부동산의 세금 공지 내용을 각 county의 tax portal에서 찾아본다던지의 방법이 있으나, 위의 두 방법이 가장 쉽게 flood zone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Flood zone codes
Flood zone을 확인하다 보면 가끔 'Zone X'등의 코드로 표기된 자료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코드에 관한 설명도 살짝 해드리겠습니다.
Flood zone 코드들은 쉽게 다음의 4가지 카테고리로 나뉩니다.
A: 연중 침수 확률이 1%이상인 곳들입니다.
- A: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강수 수위정보가 없는 곳
- AE, A1 - A30: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강수 수위정보가 있는 곳
- AH: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침수가 웅덩이의 형태로 생겨나는 곳 (주로 내륙지방)
- AO: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침수가 지역 전체에 넓게 생겨나는 곳 (주로 강 하류지역)
- AR: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침수의 확률이 전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 A99: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침수 보호시설을 건설 중이어서 침수 확률이 줄어들 지역
V: 연중 침수 확률이 1%이상인 해변가 지역입니다. 쓰나미 등이 일어나는 지역 포함입니다.
- V: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강수 수위정보가 없는 곳
- VE, V1- V30: 연중 침수 확률 1% 이상, 강수 수위정보가 있는 곳
X : 연중 침수 확률이 1% 미만인 지역입니다.
- X, C (예전 코드): 연중 침수 확률 0.2%이하 지역
- X (shaded in a flood map), X500, B: 연중 침수 확률 0.2% ~ 1% 지역
D: 아직 조사가 안된 지역입니다.
집 사실 때 물난리 지역은 꼭 피해서 사시는 것이 좋습니다. 침수피해가 아니더라도 지하가 늘 습할 확률이 높아, 곰팡이 혹은 집 파운데이션이 깨지는 피해도 더욱 자주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파운데이션이 깨지는 현상은 작은 틈 안에 배 어있던 습기와 물들이 추운겨울에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며 생기는 현상입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계약 #계약서 #RealEstate #부동산계약서 #계약서뽀개기 #시카고복덕방 #네이퍼빌 #노쓰부룩 #글렌뷰 #시카고 #realestateagent #realestate #SangCanHelp #Naperville #Northbrook #Glenview #Chicago #contractform #floodzone #flood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