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집 매각 이후, 자녀 세대가 알아야 할 재정 이야기
- grace264
- Aug 20
- 1 min read

부모님이 오래 사시던 집을 매각하게 되면, 가족에게는 단순한 부동산 거래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추억이 담긴 공간을 떠나야 하는 아쉬움이 따르기도 하지만, 동시에 현실적으로는 큰 규모의 자산 이동이 발생합니다. 특히 부모님의 집 매각 대금은 많은 가정에서 가장 큰 유동성 자금이 되며, 이는 자녀 세대의 주택 구매나 생활 기반 마련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최근 데이터를 보면 부모로부터 주택 구매 자금을 지원받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약 11%가 부모의 도움을 받았던 것에 비해, 밀레니얼 세대는 27%, Z세대는 49%가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 전역에서 부모 세대가 자녀 세대의 주택 구매를 돕는 일이 점점 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부동산 시장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장기간 보유한 주택들은 크게 가치가 상승해 세금 문제까지 얽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부모님과의 대화는 단순한 금전 문제가 아니라, 미래 계획과 상속, 그리고 가족 간의 신뢰와 직결됩니다.
부모님의 재정적 안정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재정 전문가들은 부모님의 노후 자금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부모님의 재정이 탄탄해야만 자녀 세대가 장기적으로도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금 증여는 단순히 세금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일정 규모 이상을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향후 정부 보조금이나 의료 지원 자격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녀 세대는 부모님의 지원을 당연하게 여기기보다는, 스스로 마련한 자금에 부모님의 도움을 추가적인 보너스로 생각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세금과 증여 전략 이해하기
만약 부모님이 집 매각 대금을 자녀에게 지원하고자 한다면, 효율적인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부모는 자녀 1명에게 연간 최대 19,000달러까지 세금 보고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부부인 부모가 부부인 자녀에게 증여한다면 최대 76,000달러까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이 금액을 초과한다고 해서 곧바로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아니지만, 증여세 신고 의무가 생기고 평생 면제 한도액에서 차감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족 간 대출을 설정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IRS가 정한 최소 이자율을 적용해야 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를 탕감해 사실상 증여로 전환하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자녀가 부모님의 집을 직접 원한다면
만약 부모님의 집이 아직 팔리지 않았다면, 자녀가 직접 구매하거나 공동 소유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족 간 장기 대출을 통해 점진적으로 매입하거나, 할인된 가격으로 매수 후 차액을 증여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심지어 가족 LLC를 설립해 공동 소유 형태로 임대 수익을 함께 나누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다만 이미 매각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속세 혜택인 ‘step-up basis(사망 시점의 시가 기준으로 과세 평가액이 리셋되는 제도)’를 누릴 수 없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을 지금 활용할지 아니면 미래 상속으로 남겨둘지를 신중히 따져야 합니다.
대화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자녀 간의 재정 대화는 민감하지만 피할 수 없습니다. 재정 전문가들은 이 대화를 요구로 시작하기보다, 장기적인 목표와 상호 지원이라는 틀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부모님의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자녀가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을지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시카고 지역 맥락
이 모든 이야기는 미국 전반적인 흐름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나 지역마다 부동산 시장 상황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활동하고 있는 시카고 서버브 지역만 보더라도, 특히 학교가 좋은 지역은 여전히 매물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이런 지역에서는 부모님의 자산 지원이 자녀의 주택 구매 결정 속도를 앞당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부모님의 집 매각은 단순한 자산 이전이 아니라 가족의 미래를 함께 설계할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부모님과 솔직한 대화를 시작하시고, 전문가와 함께 효율적인 증여·구매 전략을 세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가족의 부동산 계획을 세우고 싶으시다면 지금 바로 상담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카고 복덕방 한상철’ 773-717-2227, ChicagoBDB@gmail.com

Comments